무기력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았고
몇가지를 정리했다.
그리고 나는 루틴으로 만들고 싶은 매일 할 일 일주일치를 다이어리에 적었다.
의욕이 생겨나는 기분이 든다.
무기력증 극복하는 방법
작은 성취감을 느낀다. (매우매우 작은것이라도 상관없다.)
- 집을 깔끔하게 해본다. 전체를 둘러보면 곧 막막한 기분을 느끼게 될 수 있으므로 아주아주 작은 부분을 치우기 시작한다. 이를테면 현관신발 가지런히 놓기. 서랍 한칸을 모두 쏟은 후 버릴 것 한개 골라낸 뒤 정리해보기. 세면대 선반 한칸 정리하기. 양말 통에 양말 가지런히 정리해보기와 같이 매우 작은 부분. 이렇게 작은 부분을 해나가다보면 곧 집안 여기저기를 정리하고 싶어진다.
내면의 기쁨, 행복을 우선으로 추구한다.
- 매출액과 같은 숫자에 촛점을 맞추다보면 달성하지 못 했을 때 괴로워진다. 매출을 올리자!가 아니라 다른 사람을 도와줄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찾고 거기에 촛점을 맞춘다. (매출도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 있다.)
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는 프로젝트 만들기.
- 단순하게 몸을 움직여서 '해낸다, 해낼 수 있다'고 느끼는 일을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서 동기부여를 한다. 작은 성취감 느끼기는 방법을 이용해서 '매일 한번씩 신발정리 하기를 일주일 연속해내기'와 같은 부분으로 만들어도 좋다. 해냈다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. 이런 작은 프로젝트를 꾸준히 달성해나가면 나만의 루틴이 생기고 더 많은 일을 해낼 수 있고 성취해내는 부분이 생길 것이다.
나를 믿고 조바심을 내지 않고 한 걸음씩 나아간다.
- 강한 인내심이 필요하다. 그냥 하루하루 버티고 견뎌나가다 보면 그 끝에 도착해있는 나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. 변화는 생각보다 느리게 느껴지고 시간은 빠르게 가는 듯이 느껴진다.
'퇴사 이후의 삶 > 간헐적 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별로 한 일이 없는데 일찍, 쉽게 지치는 이유 (2) | 2020.10.06 |
---|---|
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생각을 깊게 하자 (2) | 2020.10.05 |
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 (직장인 행동지침) (18) | 2020.03.31 |
내가 블로그 글쓰기 주제 정하는 방법 (22) | 2020.03.25 |
2020년 1/4분기 계획 점검하기 (8) | 2020.03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