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퇴사 이후의 삶/간헐적 일기

장기적 투자방향에 대한 고찰

by 레이지_ 2022. 9. 12.
반응형

앱테크로 한 번에 1원 10원씩 모은 푼돈이라도 돈이 생기면 배당금을 주는 주식에 넣고 외환투자를 위한 종잣돈으로 만들려고 돈을 뭉치고 있다. 

 

그리고 요즘은 투자를 위해 돈을 더 많이 벌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상기시키고

장기적 투자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.

 

지금 고려해야 하는 것은 딱 하나

대한민국 인구 소멸

 

인구가 줄어들면 필연적으로 사라지는 마을이 생긴다.

그래서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고민할 수밖에 없다.

 

주식은 점차 미국 주식으로 옮겨갈 예정이다.

 

한국은 신흥국이며 선진국에 막 들어선 국가이지만 인구 소멸로 일한 핵심인력이 부족할 수 있다.

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바뀌어가면서

대기업 생산공장이 해외로 이전함에 따라

대기업 생산직이 만들어낸 중산층이 사라지고 있다.

 

우리나라는 글로벌 기업(대기업)이 한 손에 꼽힌다.

장기적으로 봤을 때 살아남을 한국 기업이 얼마나 될지, 중견 생산업체가 얼마나 남을지(살아남아도 해외로 이전할 수도) 확신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
 

장기투자는 무조건 상장폐지의 걱정 없이 뭍어놓을 수 있어야 한다.

시가총액 1위 업체와 S&P500위주로 투자하는 게 맞다고 한다.

 

내일의 부가 투자방향을 공부하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.

(소장 필수. 다독 필수)

 

내일의 부 1 + 2권 세트

COUPANG

www.coupang.com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 

 

 

앞으로 양극화는 더 심해질 것이며

돈 많은 가정에서 교육과 발전에 더 투자하듯이

시총 상위 업체는 더 잘할 수밖에 없다.

 

 

그러면 이제 부동산이다.

 

지방 어느 도시는 필연적으로 소멸된다.

서울도 일부 도시는 소멸 위험 지수 상위에 포함되어 있다.

 

부동산 투자는 무조건 입지와 토지를 중요하게 볼 생각이다.

건물은 낡아진다. 지방 도시가 소멸되면 재건축이 되지 않는다.

 

부동산은 일본을 참고하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다.

일본에는 건물 고쳐쓸 사람 100엔에 사가라고 내놓아도 아무도 안 산다.

도심지 부동산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.

 

몇 백 년 전 조상님들이 정하신 지역이 아주 중요한 입지일 확률이 높다.

현대에도 그런 땅은 중요한 위치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니 말이다.

 

부동산은 주식만큼 빨리 시작하기 어려우므로

주식과 돈을 모으면서 더 공부해보려고 한다.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