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퇴사 이후의 삶/자기관리&개발 방법

생각이 너무 많아서 아무일도 할 수 없을 때.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생각 정리방법 INFP

by 레이지_ 2020. 8. 12.
반응형

나는 생각이 진짜 많은 사람이다.

성격유형검사에서 INFP가 나왔다.

오히려 '생각을 안 하는 건 어떻게 하는 거야?'라고 묻고 싶은 지경이다.

 

작은 사업을 시작하고나서 

집=사무실 이 되면서 모든 집안일과 업무가 뒤섞이기 시작했다.

 

생각이 많으면 정신에너지를 빼앗기기 때문에 오히려 신체활동까지 영향을 많이 준다.

아무것도 안 했는데 오후가 되면 기진맥진 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.

(그래서 자주 누워있었다. 너무 피곤하다.)

 

적어도 회사를 다닐 때는 회사에서 당장 할 일만 체크하면 되었는데

집에서 일을 하면서부터 우선순위도 할 일도 모두 뒤죽박죽이 되어 머릿속을 떠다녔다.

정신이 너무 산만해져서 오히려 아무것도 시작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고

 

최근에 몇 권의 책을 읽고 나서야 정말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해결방법을 찾게 되었다.

(아마 어디선가 들어본 적 있는 방법일 수 있다. 하지만 정말 효과적이다.)

 

 

 

생각이 너무 많아서 아무일도 할 수 없을 때. 당장 써먹을 수 있는 생각 정리방법 INFP

 

 

준비물 : 빈 종이, 펜

- 다이어리를 쓰실꺼면 주간일정+메모칸 정도 있는걸 추천.

 

 

1단계 ) 머릿속의 생각을 빈 종이에 적는다.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골라서 적으면 된다.

- 할 일만 적는다 / 할 일과 떠다니는 생각 모두 적는다.

- 적었으면 생각을 멈춘다. (마음이 편해진다.)

- 뭔가 생각해야 할 일을 떠올려야 되면 종이를 본다. 추가할 일이 있으면 언제든지 추가로 적는다.

 

2단계 -1 ) 가장 먼저 해야 하거나 중요한 일이 있으면 형광펜을 긋거나 따로 체크한다.

- 중요한 일을 먼저 하고 완료했다면 중간에 줄을 긋거나 체크해서 확실하게 완료했음을 표시한다.

- 중요한 일을 하다가 좀 지루해지면 적어놓은 할 일중에 아무거나 몇 분 안에 끝나는 걸 골라서 하나 한다. 완료한 일은 체크!

 

2단계 -2 ) 그다지 중요한 일은 없지만 해야 하는 일이라면 종이에 적은 것 중에 마음에 드는걸 아무거나 하나 한다.

- 다 했다면 중간에 줄을 긋거나 체크해서 확실하게 완료했음을 표시한다. 

 

3단계) 일과를 마무리할 때쯤 남아있는 일을 확인해본다.

-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만 남았다면 그냥 잊어버려라.

- 중요한 일이 남았다면 내일 할 일에 적어두고 잊어버려라.

 

 

** 특정일에 꼭 챙겨야 하는 업무들이 있다면?

회사 생활할 때 일정에 맞춰서 꼭 챙겨야 하는 일들이 있었다. 

놓치면 생각만 해도 아찔해지는 일들.!

미리미리 특정 업무를 해야 하는 날들을 체크한 다음 순서대로 일정을 분배해서 적어둔다.

(실제로 월간/주간/메모 칸만 있는 다이어리를 썼는데 해당일에 할 일을 적어두니 일할 때 매우 효과적이었다.)

보고할 때는 주간일정 옆에 지시사항등을 추가로 적었다.

이렇게 했더니 찾으시기전에 미리 업무를 보고할 수 있었고

항상 메모노트를 가지고 가서 적다보니 부서장님께 메모광이라는 소리를 들었음~

(월간은 이벤트 같이 일어나는 일들만 적고 거의 안 씀. 너무 복잡한 다이어리는 오히려 피로감을 준다.)

 

할 일을 적을 때 주간 일정표 / 월간 일정표에

그 일을 해야 하는 날! 'ㅇㅇㅇ연락, 체크 / ㄴㄴ회의자료 준비 / ㅁㅁㅁ 발송' 같이 

꼭 그날 해야 하는 걸 적어둔다.

그러면 따로 상기하지 않아도 그 날짜의 스케줄러를 보면

'아! 오늘 이거 해야 하는구나!'하고 하면 된다.

 

 

 

더 자세한 방법은 아래 글에 짧은 독후감을 남겨둔 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것 같다.

yomyo.tistory.com/63

 

천성이 게으른 사람을 위한 책 - 진짜 게으른 사람이 쓴 게으름 탈출법

이것은 스스로 입 밖으로 꺼내지 않는 나의 민낯이지만 나는 천성이 느리고 게으른 편이다. 행동도 좀 느린 편이라고 할 수 있다. 달리는 폼 조차 느리다. 부모님은 나에게 털레털레 뛴다고 했다

yomyo.tistory.com

 

반응형

댓글